이 시리즈는 총 3개의 콘텐츠로 제작될 예정이며, 이번 콘텐츠는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제작만 하는 것이 아니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생성 AI 시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제작의 미래를 그리다 시리즈
(현재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제작만 하는 것이 아니다.

배경
Creatorhood팀 Build in Public 시리즈에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우리팀은 콘텐츠 생산비용을 극소화하기위한 방법을 찾아나가고자 하는 팀입니다. 우리팀은 크리에이터가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크리에이터 본인의 가치를 담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적인 고민(마케팅/세일즈, 수익채널다각화 등)까지 깊게 고민해야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결국 수 많은 콘텐츠 제작1의 필요성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이라는 자원이 한정성에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Creatorhood팀은 이렇게 발견한 문제를 더 뾰족하게 만들고 어떤 솔루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의 결과로 이번 시리즈가 탄생하였고, 이번 콘텐츠에서는 크리에이터가 제작해야하는 수 많은 콘텐츠들이 제작되는 프로세스를 추상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활동 정의
우리는 가장 먼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가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되고 비즈니스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정의하였습니다. 앞서 배경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콘텐츠 제작(Content Creation)이라는 광범위하고 반복적인 활동과, 크리에이터가 고객(Audience)를 만나고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콘텐츠 비즈니스(Content Business) 두 가지의 세부 프로세스로 정의하였습니다.
Content Creation Process는 콘텐츠 생산, 제작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Ideation → Design → Creation → Editing로 구성됩니다.
Content Business Process는 Content Creation Process의 산출물인 콘텐츠가 활용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Distribution → Monetization으로 구성됩니다.
Content Creation Process :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듬는 데 목적이 있는 프로세스
Ideation (구상) : 콘텐츠 제작의 시작단계로 콘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떠올리는 단계입니다. 브래인스토밍, 트렌드 파악, 고객(audience, subscriber) 피드백 모니터링 등의 활동이 수행됩니다.
Design (기획) : 콘텐츠의 구체적인 기획과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영상일 경우 스토리보드, 글의 얼개(구조) 작성 등의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Creation (제작) : 콘텐츠를 실제로 제작하는 단계로, Design에서 수립한 계획에 따라 매체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티클 작성, 영상 촬영 및 편집, 팟캐스트 녹음, 그래픽 작업 등을 통해 크리에이터가 콘텐츠에 담고 싶은 메시지와 색깔을 표현하는 활동을 포함합니다.
Editing (편집) : Creation 단계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다듬어 배포(Distribution) 준비를 완료하는 단계입니다. 콘텐츠를 검토하고, 수정, 개선하는 활동을 포함하며, 플랫폼에 배포하는 경우 플랫폼에 맞게 콘텐츠를 가공하는 활동을 포함합니다.
Content Business Process : 콘텐츠를 고객과 비즈니스에 연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프로세스 (콘텐츠 활용)
Distribution (배포) : 콘텐츠가 고객 및 잠재 고객에게 도달하는 단계입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웹사이트, 뉴스레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Monetization (수익화) : 크리에이터가 콘텐츠에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단계입니다. 광고, 구독, 제휴 마케팅, 제품/서비스 직접 판매 등 다양한 수익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크리에이터의 활동을 몇 가지 프로세스를 통해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크리에이터가 겪는 문제(수 많은 콘텐츠 제작 필요성,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논의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Content Creation Process의 세부 항목들이 추상적으로 정의되어 있다보니 문제를 구체화하고 솔루션을 상상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Content Creation”에 대한 해상도를 더 높이기 위해 프로세스적으로 어떤 Input과 Output이 필요한지, Output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정의해 보기로 했습니다. (다음 콘텐츠로 이어집니다.)
Generative AI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들어는 봤는데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잘 모르시겠다구요? 그러면 Creatorhood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Generative Club에 참여해보세요! 2023년 9월 16일까지 23년도 시즌1 멤버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기획한 다양한 활동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고객에 직접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마케팅, 세일즈, 유통 플랫폼에 따라 필요한 형식과 유형에 맞는 콘텐츠 제작 등 광범위한 콘텐츠 제작을 의미합니다.


